홈 > 미래포럼 > 프로그램
시간 | 프로그램 | 발표자/좌장 |
---|---|---|
09:20∼09:30(10’) | 포럼 안내 | |
09:30∼09:50(20’) | 개회사 및 축사 | |
① 개회사 | 용홍택 차관 (과학기술정보통신부) | |
② 축사 |
|
|
09:50∼10:20(30’) | 바이오유공자 포상 | |
10:20∼11:20(60’) | (R&D 세션) 글로벌 게임 체인저를 향한 ‘연구·혁신(R&I)‘ | |
① 바이오의료 디지털전환 ∙바이오에 AI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여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개방·융합을 통한 차세대 바이오기술 트렌드를 알 수 있는 사례, 중요성, R&D 전략 등 |
|
|
② 글로벌 기술블록화 대응 전략기술 육성 방향 ∙글로벌 기술블록화가 예상되는 합성생물학, 마이크로바이옴, 오가노이드 등 바이오의 획기적 변화와 혁신을 가져올 전략기술에 대한 정책적 추진현황 및 발전방향 |
|
|
③ 빅데이터 기반 중개연구 전략 ∙빅데이터 기반 신약개발 등 정밀의학, 맞춤의료 등을 위한 중개연구 트렌드 및 효율화 방안 |
|
|
11:20∼11:25(5’) | <패널석 셋팅> | 사회자 안내 |
11:25∼12:05(40’) | 패널토론 ► 기술이 지배하는 ‘팍스 테크니카(Pax Technica) 시대’에 대응하는 국가 차원의 바이오 과학기술 역량 확보 방안은? |
|
| ||
12:05∼13:30(85’) | <점심시간> | |
13:30∼14:30(60’) | (산업화 세션) K-바이오 글로벌 진출 전략 | |
① Post Corona 시대 제약기업 글로벌 진출 전략 ∙ 최근 전략 단계로 화두가 되고 있는 기술이전 다음 단계로서 공동개발, M&A 현황 등 글로벌 기술수출 전략 |
|
|
② 글로벌 임상 접근 전략 ∙ 빅데이터, AI 등 첨단기술의 글로벌 임상시험, 가상임상에 적용하는 사례 등 국내외 CRO 기업의 디지털화 추세·전망 |
김나현 메디데이터 솔루션 솔루션 컨설턴트 |
|
③ 빅데이터 클라우드-제약사 간 콜라보 전략 ∙ 빅테크 기업에서 바라보는 바이오산업에 대한 관점, 빅테크-바이오기업 간 콜라보 전략 등 |
이동훈 ㈜코이헬스케어 대표이사 |
|
14:30∼14:35(5’) | <패널석 셋팅> | 사회자 안내 |
14:35∼15:15(40’) | 패널토론 ► 바이오산업 제조혁신, 라이프 사이언스 4.0 시대에 대응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K-바이오산업의 역량강화 방안은? |
|
|
||
15:05∼15:30(15’) | <Break Time> | |
15:30∼16:30(60’) | (규제·제도 세션) 글로벌 바이오 규제조화 방향 | |
① 국내외 바이오 데이터 규제 현황 ∙의료 영역을 포함한 바이오 전 영역의 데이터 규제 현황 및 트렌드, 데이터 플랫폼, 표준화 등을 포함한 거버넌스적 관점에서의 국내 발전방향 등 |
|
|
② K-바이오 글로벌 특허 전략 ∙최근 바이오 특허 분쟁이슈 및 글로벌 특허장벽 돌파전략 ∙인공지능, 디지털 융합 등 첨단기술 적용 바이오 기술·제품의 지재권 확보 전략 등 향후 바이오 신기술 특허전략 등 |
정지혜 특허법인 하나 파트너 변리사 |
|
③ 바이오 규제과학 정책 방향 ∙최신 바이오 규제 이슈(신문고 등) 및 국내외 규제정책 트렌드, 신기술 적용 관련 법·제도 현황, 애자일 규제혁신 등 규제과학 연구 필요성 및 정책방향 등 |
김흥열 한국생명공학연구원(KRIBB)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|
|
16:30∼16:35(5’) | <패널석 셋팅> | 사회자 안내 |
16:35∼17:15(40’) | 패널토론 ► 불확실성이 커지는 미래 환경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안정적 글로벌 진출을 위한 국내 바이오 규제·제도 전략방향은? |
|
|
||
17:15∼17:20(5’) | 폐회 | 사회자 |